2023년 한 해를 마무리하고 2024년 새해가 왔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작년도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을 준비할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직장인들은 모두 설렘반 두려움 반으로 준비할 연말정산을 위해서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조회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미리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해 연말정산 결과를 미리 계산해 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란?
원래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국세청에서 매년 실시하는 연말정산을 위해서 납세자들에게 한 해 동안 사용한 신용카드 사용액 등의 정보를 한 해가 마무리되는 12월 이전인 10월쯤 미리 알려줘서 남은 몇 달 동안 연말정산을 위해서 신용카드 소비등을 어떤 식으로 할지 고민하고 또 대략적인 세금 환급액과 세금 납부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연말정산결과를 미리 계산해 보는 개념으로 대부분 생각하고 있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회사 연말정산 입력한 결과를 알아보기 전에 내가 미리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를 통해서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해보는 방법을 이번 글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정확한 연말정산 미리보기에 대한 글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 ▼ ▼
2023.11.14 - [주식/매매일지] - 2024 연말정산 미리보기 국세청 홈택스 /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 준비
2024 연말정산 미리보기 국세청 홈택스 /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 준비
2024 연말정산 미리보기 국세청 홈택스 /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 준비 올해도 벌써 추워지는 거보면 한해가 벌써 마무리되고 있다는 느낌이 많이 드는 것 같습니다. 연말이 되면 크리스
eunobba.tistory.com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이용방법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2024년 연말정산 결과를 모의계산하는 방법을 하나씩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2024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는 아래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로 가시면 됩니다!
▼ ▼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을 하는 방법은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간편인증을 통해서도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아이디로그인이나 비회원 로그인으로 홈택스에 접속할 경우에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이 제한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자료 확인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자료 확인하는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 > 장려금, 연말정산 전자기부금 > 연말정산간소화 > 근로자 소득, 세액공제 자료 조회로 들어가면 됩니다!
연말정산 결과 미리보기를 위해서는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확인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입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는 연말정산을 해보신 분들은 모두 아실 거예요. 작년도 내가 신용카드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얼마를 납부했고, 보험료와 의료비, 교육비는 얼마인지를 알려주는 서비스예요!
2024년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는 2024년 1월 15일에 개통될 예정입니다!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아래 '연말정산 간소화 바로가기'로 가시면 됩니다!
▼ ▼ ▼
연말정산 간소화 바로가기
3. 연말정산 모의계산 메뉴 선택
연말정산 간소화자료를 조회한 이후에는 연말정산 모의계산 메뉴를 찾으시면 됩니다.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국세청 홈택스사이트 아래쪽에 있는 '세무 업무별 서비스'에 '모의계산'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4. 연말정산 자동계산 선택(2023년)
모의계산에 들어가면 아래쪽에 '연말정산 자동계산' 메뉴가 있습니다. 연말정산 자동계산하기를 클릭하면 연도별 자동계산을 할 수 있는 리스트가 보입니다.
우리는 2023년 귀속 소득에 대해서 연말정산을 하는 것이므로 2023년 자동계산을 선택하면 됩니다.
5. 급여 및 기납부세액 입력
모의계산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가장 먼저 입력할 정보는 2023년 나의 총급여액이 얼마인지와 기납부한 소득세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위에 화면에 총급여, 기납부세액 수정이라는 파란색 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입력화면이 뜹니다.
총급여액을 입력할 때는 비급여항목인 식대등을 제외한 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총급여액을 쓰고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근로소득공제와 근로소득금액이 자동계산돼서 입력됩니다.
그리고 소득세 기납부세액을 입력해야 하는데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소득세 금액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급여명세서를 확인하면 소득세 금액과 소득세의 10%인 지방소득세 금액이 따로 나와있으니 확인해서 1년 동안 납부한 소득세 금액을 넣으시면 됩니다.
6.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입력
그리고 가장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위해서 가장 복잡한 단계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감면, 세액공제 항목을 하나씩 채워 넣어야 합니다.
일단 인적공제 대상이 있다면 추가로 인원을 넣어야 합니다. 인적공제대상은 무조건 넣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소득과 나이에 따라서 인적공제대상여부가 정해지니 자세한 연말정산 인적공제 대상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대상 확인하러 가기!
▼ ▼ ▼
연말정산 인적공제 알아보기
그밖에 건강보험료, 기부금 등의 자료들은 위에서 조회했던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하나씩 입력하면 됩니다.
7. 연말정산 미리보기 계산 결과 확인
급여액과 기납부세액,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을 모두 입력한 뒤 아래쪽에 '계산하기'를 먼저 클릭하고 그 뒤에 '계산결과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연말정산 결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결과는 위에 화면처럼 확인이 되는데요. 차감징수세액의 금액이 플러스금액이면 추가로 세금을 토해 내야 하는 것이고, 차감징수세액이 마이너스금액이면 그만큼 세금을 환급받는 것입니다.
다들 차감징수세액 금액이 마이너스여서 13월의 월급으로 연말정산 환급을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2024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한 연말정산결과를 미리 계산해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미리보기를 모의계산을 통해서 인적공제나 세액공제 항목 등을 가족분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반영해서 어떤게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인지 알아보면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절약하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으니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꼭 이용하셔서 연말정산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는 아래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로 가시면 됩니다!
▼ ▼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 함께 보면 좋은 연말정산 글 <<
2023.12.08 - [일상] -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항목/주택임차차입금, 신용카드공제 한도/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항목/주택임차차입금, 신용카드공제 한도/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
저번 글에서는 연말정산이란 무엇이고 연말정산 소득세 계산은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알아봤어요. 그리고 연말정산 소득공제에서 꽃인 인적공제에 대해서도 알아봤어요! 그럼 오늘은 인적공제
eunobba.tistory.com
2023.12.07 - [일상] - 2024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 소득공제 인적공제, 세율 / 맞벌이 부부 꿀팁
2024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 소득공제 인적공제, 세율 / 맞벌이 부부 꿀팁
이제 2023년이 끝나고 2024년 새해가 조만간 돌아오는데 새해가 오면 근로자들은 연말정산을 챙겨야 합니다. 회사일이 바쁘다는 이유로 연말정산을 소홀하게 하면 세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으니
eunobba.tistory.com
2023.12.14 - [일상]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자 조건, 감면율, 감면한도 / 중소기업 청년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자 조건, 감면율, 감면한도 / 중소기업 청년 연말정산
연말정산 시즌이 이제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연말정산은 사실 본인이 잘 챙겨야지 절세할 수 있는 제도랍니다. 그중에서 정말 잘챙겨야하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
eunobba.tistory.com
'세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2024 국세청 홈택스 자료 조회기간 부양가족 등록방법 (0) | 2024.01.03 |
---|---|
2024 연말정산 모의계산 / 연말정산 계산기 사용방법 (0) | 2024.01.03 |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0) | 2023.12.26 |
국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초간단 방법 (0) | 2023.12.26 |
자동차세 연납신청, 연납 할인율 / 연납 후 매매 시 환급 총정리 (0) | 2023.12.18 |
댓글